본문 바로가기
생활 지식

금 감별하는법 (가짜금 가려내기)

by 초록 나뭇가지 2020. 8. 24.

오늘은 8K 10K 14K 18K 24K 등등 금을 가려내는 방법중에 특이한 방법이 있어서 살짝 정보를 적어보고자 합니다.

 

저는 아직까지 금 거래를 금거래소와 은행을 통해서만 했고, 오직 골드바로만 매입을 했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금이 가짜금이라는 것에 대해서 전혀 의심하지 않는데요. 혹시라도 의심스러운 업체나 개인간 거래로 금을 사고 팔았다면 진위여부는 꼭 체크를 해야 할 듯 합니다.

 

물론 그 경우에는 보증서 등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겠으나, 속이려고 마음을 먹으면 보증서 쯤은 문제도 아니겠지요? 가장 좋은 건 전문가에게 의뢰를 하는 것이겠지요.

 

금 덩어리

 

시금석과 시약을 이용하여 금 판별

 

보통 전문가 분들은 시약을 사용해서 금 함량을 측정하는데요.

 

금을 극소량 시금석에 문질러서 해당부위에 맞는 시약을 떨어트리게 됩니다. (14K 금에는 14K 시약을, 18K 금에는 18K 시약을) 그렇게 떨어트린 시약의 반응 여부에 따라 해당 금의 진위여부를 판가름 하게됩니다. 

 

보통 이런 시약은 일반적으로 구매는 힘들고 우리나라로 치면 종로3가 귀금속 상점정도 가야 구매를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또한 시약의 성분이 질소가 섞여있는 염산인 관계로 일반인이 다루기에는 다소 위험함이 있습니다.

 

시약들

 

금속성분 측정기를 이용하는 방법

 

이건 저도 최근에 알게 된 방법인데요. 바로 금속성분 분석기란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나와있는 사진은 Vanta C 라는 기계인데요. 금만 측정할 수 있는게 아니라 오만가지 금속성분을 전부 알 수 있는 듯 합니다.

 

 

분석가능한 금속 원소들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Alloy : 티타늄, 바나듐,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텅스텐, 납, 비스무트(Bismuth), 지르코늄(Zirconium), 니오븀, 몰리브덴(Molybdenum), 주석, 안티몬, 하프늄, 탄탈럼(Tantalum), 레늄, 은, 카드뮴, 팔라듐

 

Alloy plus :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규소), 인황

 

Precious : 이리듐, 백금(플래티늄), 금, 로듐

 

 

이 기계는 위와같이 여러가지 금속뿐만 아니라 금과 은에 대해서 판별이 가능해서 자주 거래하시거나 직거래 하시는 분이라면 꽤 유용할 듯 한데요. 단점은 모델별로 측정할 수 있는 성분이 조금씩 차이가 있고, 금을 측정하는 기계는 상위모델이라 금액대가 수천만원을 호가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방사능을 이용한 장비이기 때문에 기계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점도 다소 번거로운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정말 금 덩어리를 많이 가지게 된다면 이런 기계가 문제일까 싶네요. 저도 이런 기계 하나 있었으면 합니다. 

댓글